2010. 2. 4. 14:05

사자성어100 (출처/다음 지식인)

차카


◈가인박명(佳人薄命)◈

佳 : 아름다울 가, 人 : 사람 인, 薄 :?을 박, 命 : 목숨 명.
[출전]{소식(蘇軾) 소동파}의 시(詩)

여자의 용모가 너무 아름다우면 운명이 기박함.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苛:가혹할 가, 政:정사 정, 猛:사나울 맹, 於:어조사 어, 虎:범 호
[출전]<禮記> <檀弓記>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사납다는 뜻으로, 가혹한 정치는 백성들에게 있어 호랑이에게 잡혀 먹히는 고통보다 더 무섭다는 말

◈간담상조(肝膽相照)◈

肝:간 간, 膽:쓸개 담, 相:서로 상, 照:비칠 조
(출전) 한유(韓愈)의 <柳子厚墓誌銘>

서로 간과 쓸개를 꺼내 보인다는 뜻. 곧 ① 상호간에 진심을 터놓고 격의 없이 사귐. ② 마음이 잘 맞는 절친한 사이.

◈거안제미(擧案齊眉)◈

들거, 밥상안, 가지런할제, 눈썹미
[출전] 후한서(後漢書) 일민전(逸民傳)

밥상을 눈 위로 받들어 올린다. 즉 아내가 남편을 지극히 공경하여 받들어 올림을 일컫는 말.

◈군계일학(群鷄一鶴)◈

鷄 :닭 계. 群 :무리 군. 一:한 일. 鶴:학 학
[출전]《晉書》<해소전>

닭의 무리 속에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뛰어난 한 사람이 섞여 있음

◈곡학아세(曲學阿世)◈

曲 굽을곡. 學 배울학. 阿 아첨할아. 世세상세.
[出典]'史記' 儒林傳

정도(正道)를 벗어난 학문으로 세상 사람들에게 아첨함.

◈과유불급(過猶不及)◈

過:지날 과. 猶:같을 유. 不:아니 불. 及:미칠 급.
[출전]《論語》〈先進扁〉

정도를 지나침은 미치지 못하는 것과 같다는 뜻.

◈괄목상대(刮目相對)◈

刮:비빌 괄. 目:눈 목. 相:서로 상. 對:마주 볼 대할 대.
[출전]《三國志》〈吳志 呂蒙傳注〉

눈을 비비고 본다는 뜻. 곧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전에 비하여 딴 사람으로 볼 만큼 부쩍 는 것을 일컫는 말

◈구우일모(九牛一毛)◈

九 : 아홉 구, 牛 : 소 우, 一 : 한 일, 毛 : 털 모
[출전] ≪漢書≫ <報任安書>, ≪文選≫ <司馬遷 報任少卿書>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서 뽑은 한 개의 (쇠)털이라는 뜻으로, 많은 것 중에 가장 적은 것의 비유.

◈군계일학(群鷄一鶴)◈

鷄 :닭 계. 群 :무리 군. 一:한 일. 鶴:학 학
[출전]《晉書》<해소전>

닭의 무리 속에 한 마리의 학이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 가운데 뛰어난 한 사람이 섞여 있음

◈금란지교(金蘭之交)◈

金 쇠금. 蘭 난초란. 之 어조사지. 交 사귈교
[출전]'易經' 繫辭上傳

다정한 친구 사이의 정의(情義)나 교제(交際)

◈錦衣還鄕(금의환향)◈

비단 금, 옷 의, 돌아올 환, 고향 향
[출전]《史記》

출세하여 고향으로 돌아옴

◈기호지세(騎虎之勢)◈

騎:말탈 기. 虎:범 호. 之:갈 지(…의). 勢:기세 형세 세.
[출전]《수서 隨書》〈獨孤皇后傳〉

호랑이를 타고 달리는 기세라는 뜻. 곧 ① 중도에서 만둘 수 없는 형세. ② 내친걸음

◈남가일몽(南柯一夢)◈

南:남녘 남. 柯:가지 가. 一:한 일. 夢:꿈 몽.
[출전]《南柯記》. 《異聞集》

남쪽 나뭇가지의 꿈이란 뜻. 곧, ① 덧없는 한때의 꿈. ② 인생의 덧없음의 비유

◈南橘北枳(남귤북지)◈

남녘 남, 귤 귤, 북녘 북, 탱자 지
[출전]《 晏子春秋》[동]귤화위지(橘化爲枳)

회수의 남쪽인 회남의 귤나무를 회수의 북쪽인 회북에 옮겨 심으면 탱자나무로 변해버린다. 처지가 달라짐에 따라 사람의 기질도 변한다는 뜻

◈낭중지추(囊中之錐)◈

囊:주머니 낭.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錐:송곳 추.
[출전]《史記》〈平原君列傳〉

주머니 속의 송곳이란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남의 눈에 드러남의 비유.

◈다다익선(多多益善)◈

多:많을 다. 益:더할 익. 善:착할 좋을 잘할 선.
[출전]《史記》〈淮陰侯列傳〉

많으면 많을 수록 좋다는 뜻.

◈도청도설(道聽塗說)◈

道:길 도. 聽:들을 청. 塗:길 도. 說:말씀 설.
[출전]《論語》〈陽貨篇〉,《漢書》〈藝文志〉,《荀子》〈勸學篇〉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는 뜻. 곧 ① 설들은 말을 곧바로 다른 사람에게 옮김. ② 길거리에 떠돌아다니는 뜬소문

◈동병상련(同病相憐)◈

同:한가지 동. 病:앓을 병. 相:서로 상. 憐:불쌍히 여길 련.
[출전]《吳越春秋》〈闔閭內傳〉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엽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딱하게 여겨 동정하고 돕는다는 말

◈마이동풍(馬耳東風)◈

馬:말 마. 耳:귀 이. 東:동녘 동. 風:바람 풍.
[출전]《李太白集》〈券十八〉

말의 귀에 동풍(東風:春風)이 불어도 전혀 느끼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그대로 흘려 버림의 비유. ② 무슨 말을 들어도 전혀 느끼지 못함의 비유. ③ 남의 일에 상관하지 않음의 비유.

◈망운지정(望雲之情)◈

望:바라볼 망. 雲:구름 운. 어조사 지. 情:뜻 정.
[출전]《唐書》

자식이 객지에서 부모를 그리는 정

◈맹모단기(孟母斷機)◈

孟:맏 맹. 母:어미 모. 斷:끊을 단. 機:베틀 기.
[출전]《列女傳》〈母儀傳〉《蒙求(몽구)》

맹자의 어머니가 [유학(遊學) 도중에 돌아온 맹자를 훈계하기 위해] 베틀에 건 날실을 끊었다는 뜻으로, 학문을 중도에 그만두는 것은 짜고 있던 베의 날실을 끊어 버리는 것과 같다는 말.

◈명경지수(明鏡止水)◈

明:밝을 명. 鏡:거울 경. 止:그칠 지. 水:물 수.
[출전]《莊子》〈德充符篇〉

맑을 거울과 조용한 물이라는 뜻으로, 티없이 맑고 고요한 심경을 이르는 말.

◈문경지교(刎頸之交)◈

刎:목 찌를 문. 頸:목 경. 之:갈 지(…의). 交:사귈 벗 교.
[[출전]《史記》〈廉頗藺相如列傳〉

목을 베어 줄 수 있을 정도로 절친한 사귐. 또 그런 벗.

◈문전성시(門前成市)◈

門:문 문. 前:앞 전. 成:이룰 성. 市:저자, 도시, 시가 시.
[출전]《漢書》〈孫寶傳〉〈鄭崇傳〉

문 앞이 저자(市]를 이룬다는 뜻으로, 권세가나 부잣집 문 앞이 방문객으로 저자를 이루다시피 붐빈다는 말.

◈拔本塞源(발본색원)◈

뺄 발, 근본 본, 막을 색, 근원.
[출전]《史記》

폐단을 근본적으로 제거함

◈백년하청(百年河淸)◈

百:일백 백. 年:해 년. 河:물 하. 淸:맑을 청.
[출전]《春秋左氏傳》襄公八年條〉

백 년을 기다린다 해도 황하(黃河)의 흐린 물은 맑아지지 않는다는 뜻. 곧 ① 아무리 오래 기다려도 사물(事物)이 이루어지기 어려움의 비유. ② 확실하지 않은(믿을 수 없는) 일을 언제까지나 기다림(기대함)의 비유.

◈백면서생(白面書生)◈

白:흰 백. 面:얼굴 면. 書:글 서. 生:날 생.
[출전]《宋書》〈沈慶之傳〉

오로지 글만 읽고 세상 일에 경험이 없는 젊은이를 이르는 말.

◈백아절현(伯牙絶絃)◈

伯:맏 백. 牙:어금니 아. 絶:끊을 절. 絃:악기 줄 현.
[출전]《列子》〈湯問篇〉

백아가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는 뜻. 곧 ① 서로 마음이 통하는 절친한 벗[知己]의 죽음을 이르는 말. ② 친한 벗을 잃은 슬픔

◈釜中之魚(부중지어)◈

솥 부, 가운데 중, 어조사 지, 물고기 어.
[출전]《資治通鑑》

솥안의 물고기. 곧 삶아지는 것도 모르고 솥 안에서 헤엄치고 있는 물고기. 눈앞에 닥칠 위험도 모른 채 쾌락에 빠져 있는 사람

◈사면초가(四面楚歌)◈

四:넉 사. 面:낯 겉 대할 면. 楚:초나라 초. 歌:노래 가.
[출전]《史記》〈項羽本紀〉

사면에서 들려 오는 초나라 노래란 뜻. 곧 ① 사방 빈틈없이 적에게 포위된 고립무원(孤立無援)의 상태. ② 주위에 반대자 또는 적이 많아 고립되어 있는 처지. ③ 사방으로부터 비난받음의 비유.

◈삼고초려(三顧草廬)◈

三:석 삼. 顧:돌아볼 고. 草:풀 초. 廬:풀집 려.
[출전]《三國志》〈蜀志 諸葛亮專〉

초가집을 세 번 찾아간다는 뜻. 곧 ① 사람을 맞이함에 있어 진심으로 예를 다함[三顧之禮] ② 윗사람으로부터 후히 대우받음의 비유

◈삼인성호(三人成虎)◈

三 석 삼. 人 사람 인. 成 이룰 성. 虎 범 호. [준말] 시호(市虎).
[출전] 韓非子 內儲設 / 戰國策 魏策 惠王

세 사람이 짜면 저잣거리에 호랑이가 나타났다는 말도 할 수 있다는 뜻으로, 거짓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하면 곧이듣는다는 말.

◈상전벽해(桑田碧海)◈

뽕나무상, 밭전, 푸를벽, 바다해.
[출전] 유정지(劉廷芝) 대비백발옹(代悲白髮翁)

뽕나무밭이 바다로 바뀐다는 뜻으로 세상일이 덧없이 바뀜을 이르는 말

◈새옹지마(塞翁之馬)◈

塞:변방 새. 翁:늙은이 옹. 之:갈 지(…의). 馬:말 마.
[출전]《淮南子》〈人生訓〉

세상 만사가 변전무상(變轉無常)하므로, 인생의 길흉 화복(吉凶禍福)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 길흉화복의 덧없음의 비유.

◈ 성동격서(聲東擊西) ◈

聲(소리낼 성) 東(동녘 동) 擊(칠 격) 西(서녘 서)
[출전]통전(通典) 병전(兵典)

동쪽을 칠 듯이 말하고 실제로는 서쪽을 친다는 뜻으로, 상대방을 속여 교묘하게 공략함을 비유한 말

◈속수지례(束脩之禮)◈

묶을 속 육포 수 어조사 지 예 례.
[출전] 논어(論語) “술이(述而)”편

묶은 육포의 예절이라는 말로, 스승을 처음 만나 가르침을 청할 때 작은 선물을 함으로써 예절을 갖추는 것을 말한다.

◈수구초심(首丘初心)◈

首 머리수 丘언덕구 初처음초 心마음심
《出典》'禮記' 檀弓上篇

여우는 죽을 때 머리를 자기가 살던 굴로 향한다는 말 로써,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일컫는 말.

◈수어지교 (水魚之交 )◈

水 : 물 수 , 魚 : 고기 어 , 交 : 사귈 교 .
[ 출전 ] 三國志 ( 삼국지 ).

물고기가 물을 떠나 살 수 없듯이 아주 친밀하여 떨어질 수 없는 사이 .

◈순망치한(脣亡齒寒)◈

脣:입술 순. 亡:망할 잃을 망. 齒:이 치. 寒:찰 한.
[출전]《春秋左氏專》〈僖公五年條〉

입술을 잃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 곧 ① 이웃 나라가 가까운 사이의 한쪽이 망하면 다른 한쪽도 온전하기 어려움의 비유. ② 서로 도우며 떨어질 수 없는 밀접한 관계, 또는 서로 도움으로써 성립되는 관계의 비유.

◈암중모색(暗中摸索)◈

暗:어두울 암. 中:가운데 중. 摸:더듬을 모. 索:찾을 색.
[출전]《隋唐佳話》

어둠 속에서 손으로 더듬어 찾는다는 뜻으로, 어림짐작으로 찾는다(혹은 추측한다)는 말.

◈ 약육강식(弱肉强食) ◈

弱(약할 약) 肉(고기 육) 强(굳셀 강) 食(밥 식)
[출전]한유(韓愈) 송부도문창사서(送浮屠文暢師序)

약한자가 강한자에게 먹힘.

◈양두구육(羊頭狗肉)◈

羊:양 양. 頭:머리 두. 狗:개 구. 肉:고기 육.
[출전]《晏子春秋》,《無門關》,《揚子法言》

밖에는 양 머리를 걸어 놓고 안에서는 개고기를 판다는 뜻. 곧 ① 거짓 간판을 내검. ②좋은 물건을 내걸고 나쁜 물건을 함. ③ 겉과 속이 일치하지 않음의 비유. ④ 겉으로는 훌륭하나 속은 전혀 다른 속임수의 비유.

◈양상군자(梁上君子)◈

梁:들보 량. 上:위 상. 君:임금 군자 군. 子:아들 사람 자.
[출전]《後漢書》〈陳寔專〉

대들보 위의 군자라는 뜻. 곧 ① 집안에 들어온 도둑의 비유. ② (전하여) 천장 위의 쥐를 달리 일컫는 말.

◈어부지리(漁父之利)◈

漁:고기 잡을 어. 父:아비 부. 之:갈 지(…의) 利:이로울 리.
[출전]《戰國策》〈燕策〉

어부의 이득이라는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힘들이지 않고 이득을 챙긴다는 말.

◈연목구어(緣木求魚)◈

緣:인연 인할 연. 木:나무 목. 求:구할 구. 魚:고기 어.
[출전]《孟子》〈梁惠王篇〉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구한다는 뜻. 곧 ① 도저히 불가능한(가당찮은) 일을 하려 함의 비유. ② 잘못된 방법으로 목적을 이루려 함의 비유. ③ 수고만 하고 아무것도 얻지 못함의 비유

◈오리무중(五里霧中)◈

五:다섯 오. 里:마을 이수 리. 霧:안개 무. 中:가운데 중.
[출전]《後漢書》〈張楷專〉

사방(四方) 5리에 안개가 덮여 있는 속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행방이나 사태의 추이를 알 길이 없음의 비유.

◈오손공주(烏孫公主)◈

烏:까마귀 오. 孫:손자 손. 公:공변될 귀인 공. 主:주인 주.
[출전]《漢書》〈西域專〉

정략 결혼의 희생이 된 슬픈 운명의 여인.

◈온고지신(溫故知新)◈

익힐온, 옛고, 알지, 새로울신
[출전]『論語』

옛 것을 익혀 새로운 것을 안다. 옛 것을 익혀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지식과 도리를 발견하다.

◈와신상담(臥薪嘗膽)◈

臥:누울 와. 薪:섶(땔)나무 신. 嘗:맛볼 상. 膽:쓸게 담.
[출전]《史記》〈越世家〉

섶 위에서 잠을 자고 쓸개를 핥는다는 뜻으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갖 고난을 참고 견딤의 비유.

◈ 욕속부달(欲速不達) ◈

欲(하고자 할 욕) 速(빠를 속) 不(아닐 불) 達(다다를 달)
[출전] 논어(論語) 자로(子路)편

서두르면 도리어 목적에 도달하지 못하게 된다는 것을 뜻함.

◈용두사미(龍頭蛇尾)◈

용 룡/ 머리 두/ 뱀 사/ 꼬리 미
[출전] 원오극근(園悟克勤)의 벽암집(碧巖集)

용의 머리에 뱀의 꼬리라는 말로, 시작은 거창했지만 결국엔 보잘것없음을 뜻한다.

◈우공이산(愚公移山)◈

愚:어리석을 우. 公:귀 공. 移:옮길 이. 山:메 산.
[출전]《列子》〈湯問篇〉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의 비유.

◈월하빙인(月下氷人)◈

月:달 월. 下:아래 하. 氷:얼음 빙. 人:사람 인.
[출전]《續幽怪錄》,《晉書》〈索耽篇〉

월하로(月下老)와 빙상인(氷上人)이 합쳐진 것으로, 결혼 중매인을 일컫는 말.

◈읍참마속(泣斬馬謖)◈

泣:울 읍. 斬:벨 참. 馬:말 마. 謖:일어날 속.
[출전]《三國志》〈蜀志 諸葛亮專〉

울면서 마속을 벤다는 뜻. 곧 ① 법의 공정을 지키기 위해 사사로운 정(情)을 버림의 비유. ② 큰 목적을 위해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가차없이 버림의 비유.

◈의기양양(意氣揚揚)◈

意(뜻 의) 氣(기운 기) 揚(오를 양) 揚(오를 양)
[출전] 사기(史記) 관.안열전(管·晏列傳)

의기양양하다. 아주 자랑스럽게 행동하는 모양

◈이목지신(移木之信)◈

移 옮길이 , 木 나무목, 之 어조사지, 信 믿을신.
[출전]《史記》〈商君列專〉

위성자가 나무 옮기기로 백성들을 믿게 한다는 뜻. 곧 ① 남을 속이지 아니한 것을 밝힘. ② 약속을 실행함

◈이심전심(以心傳心)◈

以:써 이. 心:마음 심. 傳:전할 전.
[출전]《五燈會元》〈傳燈錄〉,《無門關》,《六祖壇經》

마음에서 마음으로 뜻이 통한다는 말.

◈ 인면수심(人面獸心) ◈

人(사람 인) 面(낯 면) 獸(짐승 수) 心(마음 심)
[출전]한서(漢書) 흉노전(匈奴傳)

성질이 잔인하고 흉악한 짐승같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

◈일거양득(一擧兩得)◈

一:한 일. 擧:들 거. 兩:두 량. 得:얻을 득.
[출전]《春秋後語》, 《戰國策》〈秦策〉

한 가지 일로써 두 가지 이익을 거둔다는 뜻.

◈일국삼공(一國三公)◈

一(한 일) 國(나라 국) 三(석 삼) 公(공변될 공)
[출전]춘추좌전

많은 사람들이 저마다 구구한 의견을 제시함

◈일망타진(一網打盡)◈

一:한 일. 網:그물 망. 打:칠 타. 盡:다할 진.
[출전]《宋史》〈人宗紀〉,《東軒筆錄》

한 번 그물을 쳐서 물고기를 다 잡는다는 뜻. 곧 범인들이나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잡는다는 말.

◈一瀉千里(일사천리)◈

한 일, 쏟을 사, 일천 천, 리 리.
[출전]《엄산당별집》

신속하게 일을 처리함.

◈자포자기(自暴自棄)◈

自:스스로 자. 暴:사나울 포. 棄:버릴 기.
[출전]《孟子》〈離婁篇〉

스스로 자신을 학대하고 돌보지 아니함.

◈전전긍긍(戰戰兢兢)◈

戰:무서워 떨 싸움할 전. 兢:조심할 긍.
[출전]《詩經》〈小雅篇〉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전전(戰戰)이란 몹시 두려워서 벌벌 떠는 모양이고, 긍긍(兢兢)이란 몸을 움추리고 조심하는 모양을 말한다

◈전화위복(轉禍爲福)◈

轉:구를 전. 禍:재화 화. 爲:할 위할 위. 福:복 복.
[출전]《戰國策》〈燕策〉

① 화(禍)를 바꾸어 오히려 복(福)이 되게 함.②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절차탁마(切磋琢磨)◈

切:끊을 자를 절. 磋:탄식할 찬탄할 차. 琢:쫄 탁. 磨:갈 마.
[출전]《論語》〈學而篇〉,《詩經》〈衛風篇〉

뼈 상아 옥 돌 따위를 깎고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 곧 ① 수양에 수양을 쌓음의 비유. ② 학문 기예 따위를 힘써 갈고 닦음의 비유.

◈점입가경(漸入佳境)◈

漸:점차 점, 入:들 입, 佳:아름다울 가, 境:지경 경.
[출전]晉書 고개지(顧愷之)전

경치나 문장, 사건이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됨.

◈정중지와(井中之蛙)◈

井:우물 정. 中:가운데 중. 之:갈 지(…의). 蛙:개구리 와.
[출전]《後漢書》〈馬援專〉,《莊子》〈秋水篇〉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식견이 좁음의 비유.

◈조강지처(糟糠之妻)◈

糟:술재강 조. 糠:겨 강. 之:갈 지(…의). 妻:아내 처.
[출전]《後漢書》〈宋弘專〉

술재강과 겨로 끼니를 이을 만큼 구차할 때 함께 고생하던 아내.

◈조삼모사(朝三暮四)◈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출전]《列子》〈黃帝篇〉,《莊子》〈齊物論〉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 곧 ① 당장 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주공삼태(周公三笞)◈

두루 주/ 공변될 공/ 석 삼/ 매질할 태.
[출전] 설원(說苑) 건본(建本) 편

주공의 세 차례 매질이라는 뜻으로, 자식들을 엄하게 교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주지육림(酒池肉林)◈

酒:술 주. 池:못 지. 肉:고기 육. 林:수풀 림.
[출전]《史記》〈殷本紀〉,《帝王世紀》,《十八史略》

술로 못[池]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극히 호사스럽고 방탕한 주연(酒宴)을 일컫는 말.

◈죽마고우(竹馬故友)◈

竹:대나무 죽. 馬:말 마. 故:예 연고 고. 友:벗 우.
[출전]《世說新語》〈品藻篇〉,《晉書》〈殷浩專〉

어릴 때 같이 죽마(대말)를 타고 놀던 벗이란 뜻. 곧 ① 어렸을 때의 벗. 소꼽동무. ② 어렸을 때 친하게 사귄 사이. ③ 어렸을 때부터의 오랜 친구

◈중과부적(衆寡不敵)◈

衆:무리 중. 寡:적을 과. 不:아니 불. 敵:대적할 원수 적수 적.
[출전]《孟子》〈梁惠王篇〉

적은 수효가 많은 수효를 대적하지 못한다는 뜻.

◈衆口難防(중구난방)◈

무리 중, 입 구, 어려울 난, 막을 방.
[출전]十八史略(십팔사략)

여러 사람의 말을 다 막기가 어렵다는 말로 많은 사람이 마구 떠들어대는 소리는 감당하기 어려우니 행동을 조심해야 한다는 뜻

◈지록위마(指鹿爲馬)◈

指:손가락 가리킬 지. 鹿:사슴 록. 爲:할 위할 위. 馬:말 마.
[출전]《史記》〈秦始皇本紀〉

사슴을 가리켜 말[馬]이라고 한다는 뜻. 곧 ① 윗사람을 농락하여 마음대로 휘두름의 비유. ② 위압적으로 남에게 잘못을 밀어붙여 끝까지 속이려 함의 비유.

◈지상담병(紙上談兵)◈

종이 지/ 위 상/ 말할 담/ 병사 병.
[출전]사기(史記) 염파 -인상여전

종이 위에서 병법을 말한다는 뜻으로, 이론에만 밝을 뿐 실제적인 지식은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성어다.

◈진퇴유곡(進退維谷)◈

進 나아갈진, 退 물러날퇴, 維 더욱유, 谷 골짜기곡
[출전]詩經(시경) 桑柔(상유)
進退維谷은 前後左右(전후좌우) 온통 깊은 골자기에 빠져 있어 나아갈 수도 없고 그렇다고 물러설 수도 없는 딱한 상황에 처했을 때 사용하는 말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속된 표현으로 ‘빼도 박도 못하는’ 상황이다. 進退兩難(진퇴양난)이라고도 한다.

◈借鷄騎還(차계기환)◈

빌차, 닭계, 탈기, 돌아갈 환
[출전]太平閑話滑稽傳(태평한화골계전)

닭을 빌려 타고 돌아간다는 뜻. 손님을 박대하는 것을 비꼬는 데 인용하는 말이다.

◈창해일속(滄海一粟)◈

滄:푸를 창. 海:바다 해. 一:한 일. 粟: 조 속.
[출전]《赤壁賦》

푸른 바닷속에 있는 좁쌀 한 톨이라는 뜻. 아주 작고 보잘것없는 것을 의미한다.

◈천고마비(天高馬肥)◈

天:하늘 천. 高:?을 고. 馬:말 마. 肥:살찔 비.
[출전]《漢書》〈匈奴專〉

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 곧 ① 하늘이 맑고 오곡 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는 가을을 형용하는 말. ② (흉노에게 있어, 전하여 오늘날에는 누구에게나) 활약(동)하기 좋은 계절을 이르는 말.

◈천재일우(千載一遇)◈

일천 천. 載:실을 해 재. 一:한 일. 遇:만날 우.
[출전]《文選》〈袁宏 三國名臣序贊>

천 년[千載]에 한 번 만날 수 있는 기회란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기회를 이르는 말.

◈청천백일(靑天白日)◈

靑:푸를 청. 天:하늘 천. 白:흰 백. 日:날 일.
[출전]《唐宋八 家文》〈韓愈 與崔群西〉,《朱子全書》〈諸子篇〉

푸른 하늘에 쨍쨍하게 빛나는 해라는 뜻. 곧 ① 맑게 갠 대낮. ② 뒤가 썩 깨끗한 일. ③ 원죄가 판명되어 무죄가 되는 일. ④ 푸른 바탕의 한복판에 12개의 빛살이 있는 흰 태양을 배치한 무늬.

◈청천벽력(靑天霹靂)◈

靑:푸를 청. 天:하늘 천. 霹:벼락 벽. 靂:벼락 력.
[출전] 육유(陸游)의《劍南詩稿》〈九月四日鷄未鳴起作〉

맑게 갠 하늘의 벼락(날벼락)이란 뜻. ① 약동하는 필세(筆勢)의 형용. ② 생각지 않았던 무서운 일. ③ 갑자기 일어난 큰 사건이나 이변(異變)의 비유

◈초미지급(焦眉之急)◈

焦:태울 초. 眉:눈썹 미. 之:어조사 지. 急:급할 급.
[출전]《五燈會元》

눈썹에 불이 붙은 급한 상태. 아주 화급한 상태

◈촌철살인(寸鐵殺人)◈

寸:마디 촌. 鐵:쇠 철. 殺:죽일 살. 人:사람 인.
[출전]나대경(羅大經)의《鶴林玉露》

'촌철'은 손가락 한 개 폭 정도의 무기를 뜻한다. '촌철살인'은 날카로운 경구(驚句)를 비유한 것으로, 상대방의 허를 찌르는 한 마디의 말이 수천 마디의 말을 능가한다는 뜻임

◈出爾反爾(출이반이)◈

出:날 출, 爾:너 이, 反:돌이킬 반, 너 이.
[출전]《孟子》

너에게서 나온 것은 너에게로 돌아온다. 자기가 뿌린 씨는 자기가 거두게 된다

◈침어낙안(沈魚落雁)◈

浸:잠길 침. 魚:물고기 어. 落:떨어질 락. 雁:기러기 안.
[출전]《莊子》<제물론편>

여인이 너무 아름다워 물고기는 잠기고 기러기는 떨어진다. 아름다운 미인을 형용하는 말

◈快刀亂麻(쾌도난마)◈

快:쾌할 쾌, 刀:칼 도, 亂:어지러울 란, 麻:삼 마.
출전 : [北齊書]

날랜 칼로 복잡하게 헝클어진 삼을 베다. 곧 어지럽게 뒤얽힌 일이나 정황(情況)을 재빠르고 명쾌하게 처리하는 것

◈타산지석(他山之石)◈

他:다를 타. 山:메 산. 之:갈 지(…의). 石:돌 석.
[출전]《詩經》〈小雅篇〉

다른 산의 거친(쓸모 없는) 돌이라도 옥(玉)을 가는 데에 소용이 된다는 뜻. 곧 ① 다른 사람의 하찮은 언행일지라도 자기의 지식이나 인격을 닦는 데에 도움이 됨의 비유. ② 쓸모 없는 것이라도 쓰기에 따라 유용한 것이 될 수 있음의 비유.

◈태산북두(泰山北斗)◈

泰:클 태. 山:메 산. 北:북녘 북. 斗:말, 별자리 두.
[출전] ≪唐書≫ 〈韓愈傳贊〉

태산과 북두칠성을 가리키는 말. 곧 ① 권위자. 제일인자. 학문 예술 분야의 대가. ② 세상 사람들로부터 우러러 받듦을 받거나 가장 존경받는 사람.

◈토사구팽(兎死狗烹)◈

兎:토끼 토. 死:죽을 사. 狗:개 구. 烹:삶을 팽.
[출전]《史記》〈淮陰侯列傳〉,《十八史略》,《韓非子》〈內儲說篇〉

토끼 사냥이 끝나면 사냥개는 삶아 먹힌다는 뜻. 곧 쓸모가 있을 때는 긴요하게 쓰이다가 쓸모가 없어지면 헌신짝처럼 버려진다는 말.


◈투서기기 (投鼠忌器) ◈

(던질 투/쥐 서/꺼릴 기/그릇 기)
[출전] 한서

쥐를 잡으려다 그릇을 깨뜨린다-밉긴 하지만 큰 일을 그르칠까 염려되어 그렇게 하지 못함.

◈破釜沈船(파부침선)◈

破:깨트릴 파, 釜:가마솥 부, 沈:잠길 침, 船:배 선.
[출전]《史記》

밥 짓는 가마솥을 부수고 돌아갈 배도 가라앉히다. 결사의 각오로 싸움터에 나서거나 최후의 결단을 내림을 비유하는 말

◈파죽지세(破竹之勢)◈

破:깨뜨릴 깨어질 파. 竹:대나무 죽. 之:갈 지(…의). 勢:기세 형세 세.
[출전]《晉書》〈杜預專〉

대나무를 쪼개는 기세라는 뜻. 곧 ① 맹렬한 기세. ② 세력이 강대하여 적대하는 자가 없음의 비유. ③ 무인지경을 가듯 아무런 저항도 받지 않고 진군함의 비유.

◈포식난의(飽食暖衣)◈

飽:배부를 포 食:먹을 식 暖:따뜻할 난 衣:옷 의
[출전] 孟子 <등문공편 등文公篇

배부르게(飽) 먹고(食) 따뜻하게(暖) 입음(衣) 아주 편안한 생활.

◈포호빙하(暴虎馮河)◈

暴:사나울 폭(관용) 포. 虎:범 호. 馮:탈 빙. 河:물 하
[출전] ≪論語≫ 〈述而篇〉

맨손으로 범에게 덤비고 걸어서 황하를 건넌다는 뜻. 곧 무모한 행동.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는 무모한 용기의 비유.

◈夏爐冬扇(하로동선)◈

夏:여름 하, 爐:화로 로, 冬:겨울 동, 扇:부채 선.
[출전]논형(論衡)

여름의 화로와 겨울의 부채. 곧 격이나 철에 맞지 않거나 쓸데 없는 사물을 비유하는 말

◈한우충동(汗牛充棟)◈

汗:땀 한. 牛:소 우. 充:채울 충. 棟:마룻대동.
[출전] 유종원의 <육문통 묘표>

소가 땀을 흘릴만큼 실은 무게와 용마루에 받힐 만큼 쌓인 양이라는 뜻으로 책이 매우 많음을 이름

◈한단지몽(邯鄲之夢)◈

邯:땅 이름 한. 鄲: 땅 이름 단. 之:갈 지(…의). 夢:꿈 몽.
[[출전] 심기제(沈旣濟)의 ≪枕中記≫

한단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榮華)의 헛됨의 비유.

◈함흥차사(咸興差使)◈

咸 : 다 함. 興 : 일어날 흥, 差 : 어긋날 차, 使 : 사신 사.
[출전] : 연려실기술 권2.

함흥은 지명, 함흥에 갔던 어긋난 사신이란뜻으로 한 번 간 사람이 돌아오지 않거나 소식이 없음.

◈형설지공(螢雪之功)◈

螢:반딧불 형, 雪:눈 설, 之:어조사 지, 功:공 공.
[출전]《 晉書》<車胤·孫康傳>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열심히 공부함

◈호가호위(狐假虎威)◈

狐:여우 호. 假:거짓 가. 虎:범 호. 威:위엄 위
[출전] ≪戰國策≫ 〈楚策〉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어 다른 짐승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남의 권세를 빌어 위세를 부림에 비유.

◈호시탐탐(虎視眈眈)◈

범호, 볼시, 엿볼탐.
[출전] <주역(周易) 경문(經文)

호랑이가 눈을 부릅뜨고 노려본다는 말이다. 날카로운 눈빛으로 형세를 바라보며 기회를 노린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비하여 방심하지 않는 모습을 말한다

◈화룡점정(畵龍點睛)◈

畵:그림 화. 龍:용 룡. 點:점 찍을 점. 睛:눈동자 정.
[출전] ≪水衡記≫

용을 그리는데 눈동자도 그려 넣는다는 뜻. 곧 ① 사물의 가장 중요한 부분을 완성시킴. 끝손질을 함. ② 사소한 것으로 전체가 돋보이고 활기를 띠며 살아남의 비유.

◈換骨奪胎(환골탈태)◈

換:바꿀 환, 骨;뼈 골, 奪:빼앗을 탈, 胎:아이벨 태.
[출전]《냉재야화(冷齋夜話》

뼈를 바꾸고 태를 벗겨 면모를 일신함

◈ 후안무치(厚顔無恥) ◈

厚(투터울 후) 顔(얼굴 안) 無(없을 무) 恥(부끄러워할 치)
[출전]書經 <五子之歌>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