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6. 25. 12:11

전쟁의 끝 "가는 것이 있으면, 오는 것이 있다"

http://ideabulb.co.kr/10051746625?Redirect=Log

 

2009년 깐느 광고제를 비롯한 각종 광고제를 휩쓴 작품입니다.

제가 퍼 나르는 재주가 없어서 링크를 걸어 봅니다.

 

즐겨찾기를 해 놓은 게시판인데 작년에 그 공익광고를 보고 눈물이 났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전쟁이 종식되길 바라는 맘이 간절합니다.

 

그러나, 저는 어제 큰 아들을 야밤에 비이성적으로 혼내며 전쟁을 일으키고

지옥에 다녀왔습니다. ㅜㅜ

 

내가 선 곳에서 피스키퍼(peace-keeper)로도 피스메이커(peace-maker)로도 

지나치게 불충하지만

전쟁과 평화는 저의 삶에 늘 바람직한 과제입니다.

 

6월 내내 제가 가르치는 아이들과 '전쟁과 평화'를 주제로 책도 읽고 이야기를 나누고 있습니다.

그리고, 교회에서는 역사의식을 바로 갖는 그리스도인이 되기 위해

지난 우리 역사 속의 기독교를 돌아보고 앞으로의 변혁과 소망에 대해 강의를 들었습니다.

어제는 둘째 녀석 "6.25전쟁"에 대해 공부해 가는 것이 숙제이고 오늘 골든벨한다고 해서

저녁밥도 대충 먹이고 인터넷 뒤지며 자료를 정리했습니다.

부끄럽게도 6.25전쟁에 대해서 비로소  "이제야 조금 알겠다" 경험을 하였네요.

 

지금 tv에서는 6.25기념식 생방을 하고 전 들으며 이렇게 몇자 적고 있습니다.     

짐작하시겠지만 이명박 대통령이 식순에 의해 말씀 중입니다...

 

다른 건 모르겠고...

아까 첫 식순에서 애국가를 부르는 장면이 참 뭉클했습니다.

이런 아침 10시 국가기념행사를 제대로 본 적이 거의 없지만

애국가를 4절까지 부르는 것은 처음 보았고 (우리 애국가 가사 참 특별하지 않습니까?)

초대된 연령이 다양해서 그 합창은 이제껏 들어 보지 못한 아름답고 힘찬 함성 같았습니다.

마이크에 가까운지 바이브레이션 심한 아줌마 합창단 소리와

맑고 고운 자연스런 어린이들의 합창 ...

그리고 최선을 다해 애국가를 부르시는 할아버지 정치가들 참전 용사들...

 

우리 나라가 경제적 국제적 위세가 높아지기는 한 걸까요?

한국전쟁 60년을 맞아 참전국 대표를 초대해서 감사패를 드리며

각국어로 "감사합니다" 멘트를 해 드리더군요.

우리 나라 보다 어려운 나라에게는 재정적 지원도 좀 많이 해 드리면 좋으련만...

 

어제 자료를 정리하며 맘이 참 아팠습니다.

그리고, 그 아픔이 아이들에게 어떻게 전승되어야 할지 고민을 했습니다.

 

아침에 남편 말이 우리 나라 초등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는데

6.25에 대해 넘 모른다는 결과가 나왔더라 하더군요.

20년 전 우리가 국사에 대해  달달달 암기하고 있을 때

일본 학생들 자기 나라 역사 넘 몰라 큰일이라더라 하는 보고가 기억납니다.

여러모로 일본의 20년 전를 따라 잡는 것이 하나 추가 되는 것 같습니다.

엉뚱하게 "그럼, 우리 농업은 10년 안에 '소농'으로 자리 잡을려나?" 하고

희망찬 웃음을 지었습니다 ^^;

 

제가 넘 얘길 산만하게 하지요? ^^;;

 

기회가 있음 제가 교회에서 들은 강의 내용을 한번 올리겠습니다.

누구든지 게시판에 들어오셔서 들으실 수도 있습니다

 

<한국 근현대사 속의 그리스도인>   http://www.nadulmok.org/

06/06 '진리와 자유의 하나님과 함께한'-양현혜교수-

06/13 '낮고 약한 자의 하나님과 함께한'-한완상장로

06/20 '화평케 하시는 하나님과 함께한'-임동원장로-

 

기독교인이 아니셔도 들으실 때 별 거부감 없으시리라 생각 됩니다.

 

엉뚱한 거 하나더...제가 다른 나라 애국가를 거의 모르는데

월드컵 보면서 아르헨티나 애국가를 듣는데 울컥 했답니다.

와~~ 가사랑 곡 자체가 그리고 경기장을 울리는 제창이...

살아있는 역사를 담았구나 싶더군요. ^^

 

오늘은 6.25

아아 잊으랴 어찌 우리 이 날을 ... 초등학교 때 울며 부르던 게 생각 나네요ㅜㅜ

아아 우리가 무기 들이밀지 말고 꼭 평화통일을 이루기 위해 해야 할 것이 참 많습니다. 

2010. 6. 24. 19:43

6.25 전쟁

한국 전쟁(韓國戰爭)[3] 또는 6·25 전쟁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에 조선인민군(북한군)의 남침으로부터 발발한 전쟁이다.

1953년 7월 27일에 휴전협정으로 말미암아 휴전선을 사이에 두고 현재까지 서류상으로 휴전 중이지만,

휴전 이후 쌍방 간에 크고 작은 국지적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2010년 5월 현재 천안함 침몰 사건 이후로 남북간에 전쟁 위기감이 다시 한번 고조되고 있다. (출처:위키백과)

3년 동안 계속된 이 전쟁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다치고,

대부분의 산업 시설들이 파괴되는 등 양국 모두가 큰 피해를 입었으며,

남한과 북한 간에 서로에 대한 적대적 감정이 팽배하게 되어

한반도 분단이 더욱 고착화되면서, 지금까지도 세계 유일의 분단 국가로 남아있다.



* 6.25 전쟁의 배경 :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국 정상들이 전후 처리와 소련의 대일참전 그리고 일본의 무조건 항복 등을

논의하는 자리에서 일제치하에 있는 한국의 독립 보장을 언급함으로써 조국 광복의 서광이 비쳤다.

그러나 일본이 연합국 항복 요구를 거부함으로써 미국은 일본에 원자 폭탄을 투하하였고

소련군은 일본을 경계하여 만주와 북한지역으로 진격하였다. 한반도에 쳐들어오기 시작한 것이다.

원폭투하 이후, 일본이 패전하게 되자 미국은 소련군의  남진으로 한반도를 잃게 될까 급하게 막기 위해 

38도선을 미·소 양군의 진출 한계선으로 정했다. 

이것은 한반도가 분단되는 원인이 되었다. 6.25 전쟁 이전부터 38선은 군사분계선이었다.  

남북한에 군사를 배치한 미·소양군의 점령 정책이 서로 달라

신탁통치에(우리 나라가 독립국가로 설 때까지 도와 주는) 대한 찬성과 반대가 일어나고

사상적(사회주의와 민주주의) 대립마저 고조되면서 국토 분단은 현실로 다가왔다.

따라서 온 국민의 열망과 유엔의 통일정부 수립 노력에도 불구하고 38도선을 경계로

이념과 체제가 다른 2개의 정부가 한반도에 각각 수립되었다.     (출처: 대한민국 국방부)                 


*다양한 호칭

대한민국(이하 남한)의 입장에서는 공식적으로는 6·25 전쟁(六二五戰爭)[4], 주로 한국전쟁, 한국동란(韓國動亂),

6·25 사변
(六二五事變), 6·25 동란(六二五動亂)이라 부른다.

북한에서는 조국해방전쟁
(祖國解放戰爭)으로 부른다.

다른 국가들은 조선전쟁(일본어: 朝鮮戦争 (ちょうせんせんそう)), 항미원조전쟁(중국어 정체: 抗美援朝戰爭),

코리아 전쟁
(Korean War[5], 서구권) 등 입장에 따라 제각기 다른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미국에서는 잊혀진 전쟁(The Forgotten War), 알려지지 않는 전쟁(The Unknown War)으로

불리기도 한다.


*피해

3년 1개월에 걸친 한국 전쟁은 한반도 전체를 폐허화했고, 참전한 외국의 병력에까지

극심한 해를 입었으며
이때 사용된 폭탄의 수는 불분명 하지만 1차세계대전에 맞먹는다고도

하고 그렇지 못하다고도 한다.


한국전쟁은 그 밖에도 약 20만 명의 전쟁 미망인과 10여만 명이 넘는 전쟁 고아를 만들었으며

1천여만 명이 넘는
이산 가족을 만들었다.

그리고 45%에 이르는 공업 시설이 파괴되어 경제적, 사회적 암흑기를 초래했다

미국의 통계에 따르면 60만 명이 전쟁 중에 사망하였고, 전체 참전국의 사망자를 모두 합하면

200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한국의 사망자는 백만 명이 넘으며 그중 85%는 민간인이다.

또한
미군에 의해 피난민들이 학살당한 노근리 학살사건, 거창 주민들이 인민군 부역자로 몰려

학살당한 한국군의 대표적인 전쟁 범죄보도연맹 사건, 거창 민간인 학살사건,

대중선동으로
인민군들이 우파들을 죽인 소위, 인민재판 등의 전시 민간인 학살피해자

즉,
전쟁 범죄 피해자들도 발생했다.

이러한 민간인 피해 및 전쟁범죄 사건의 규모는 극히 최근에 공개된 것이다.

소련의 통계에 따르면 북한의 11.1%의 인구가 전쟁을 통하여 사망하였는데

이것은 113만 명에 이른다. 양측을 합하여 250만 명이 사망하였다.

80%의 산업시설과 공공시설과 교통시설이 파괴되었고, 정부 건물의 4분의 3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으며 가옥의 절반이 파괴되거나 손상되었다.

미군은 약 54,000명의 사망자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베트남 전쟁 때보다는 약간 적은 수이지만

훨씬 짧은 시기를 고려한다면 많은 수라고 할 수 있다.


*참전국
전투부대 파견국 및 의료지원국

전투부대파견국(16개국)

의료지원국(5개국) :스웨덴, 노르웨이, 인도, 덴마크, 이탈리아


남북한 군사력 비교(1950년 기준)
항목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장갑차 24대 54대
전차 0대 242대 (T-34)
곡사포 105mm-m3 88문
사정거리 6500m
122mm 172문
76.2mm곡사포 176문
76.2mm자주포 242문
사정거리 평균 10,000m
대전차포 57mm 140문 45mm 540문
박격포 60mm 576문
81mm 384문
61mm 1142문
82mm 950문
120mm 226문
군용기 연습기 20대 전투기 등 170대
육군병력 9만 4000명 19만 1680명
해군병력 8866명 4700명
공군병력 1800명 2000명
총병력 10만 4666명 19만 8380명
전투경험 대부분 없음
(신병대다수)
중국 팔로군 출신 한인중 일부
국공내전 참전 경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