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 귀신 죽이기> /서평 펌글
<그리스 귀신 죽이기>, 박홍규, 생각의 나무, 12,000원
그리스로마 신화에 대해 비판적 생각들이 있어서
권장도서로 삼지 않고 누군가 어떠냐고 물어오면 극구 말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반대하는 배경의 밑천이 달려서 적극적일 수는 없었다.
초등학생들이 보는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가나출판사 ) 시리즈가 있다.
매우 선정적인 분위기로 압도하는 소위 재미난 요소를 갖고
고전을 쉽게 접근하게 하는 학습만화인 척 하면서
어린이 도서관을 일망타진 한 것을 여러 번 보았다.
도서관에 복권(여러 권)을 갖추고 있는데 상태조차 너덜너덜
인기폭발을 말해 주는 대출열람 상위권 도서인 것이다.
책을 권하는 사람으로서 편견으로 책을 속단하는 위험을 조금은 알지만
아무 비판적 사고 없이 아이들이 유행따라
또는 그저 '고전이니까 / 필수니까' 라는 선택으로
<그리스로마 신화>를 즐기지 않길 바래왔다.
아래 서평이 나의 생각과 완전 일치하지는 않지만
<그리스신화>가 고전이라는 미명을 벗어야 한다는 맘으로 퍼왔다.
불륜·폭력·패륜 난무 막장드라마보다 더한 그리스의 귀신들
서울신문 | 2009-10-19 13:50:43
[서울신문]귀신이나 신이나 국어사전에서는 모두 '초인적이고 초자연적 위력을 가진 존재'로 정의된다. 그런데 왜 우리가 제사로 모시는 조상들은 귀신이라고 하고 제우스, 헤라, 프로메테우스, 아르테미스는 신이라고 할까. 그들을 '그리스 귀신'이라고 부르면 왜 이상할까. 그리스 철학자 크세노파네스는 그리스 신들이 인간과 같은 존재이고 음모·계략·살인·절도 등 범죄와 폭력을 일삼는 부도덕한 존재라고 비판했고, 플라톤도 "신화는 인간의 비이성적인 면을 부채질한다."고 신화를 거부했다.
●권선징악조차 빠진 그리스 신화
그리스 신화의 문제점을 지적한 시각은 고대 그리스부터 있었지만, 우리에게 그리스 신화는 학생들에게는 강력 추천되는 고전 중의 고전이다. 서양 문화, 예술, 지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리스 신화를 알아야 한다. 우리에게도 한민족의 시조인 단군이 있고, 알에서 나왔다는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 하늘에서 떨어진 황금알이 변한 가락국의 시조 수로왕 등 신적인 존재가 있지만 그리스 신화만큼 추앙받지는 못한다.
진보 법학자로 꼽히는 박홍규 영남대 교수는 그의 최신작 '그리스 귀신 죽이기'(생각의나무 펴냄)에서 거꾸로 뒤집어 그리스 신화를 파악한다.
"그리스 신화는 여러모로 유해하다."는 박 교수는 가부장적 권위성, 세속성, 오락성이 뒤섞인 그리스 신화를 불륜, 폭력, 복수 등이 난무하는 한국의 막장 드라마에 비교하기도 한다. 그래도 한국의 막장 드라마가 조금 더 낫다. "극단적인 요소들의 뒤범벅으로 오락성만을 추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적어도 그 외양만은 권선징악이라는 최소한의 도덕성을 띠는 반면 그리스 신화에는 그것조차 빠져 있다."는 것이다.
제목처럼 '그리스 신'을 '그리스 귀신'이라고 하는 것은 비판하는 차원을 넘어서 부정에 가깝다. 그리스 신화에서 주체인 자기는 신과 영웅들이고, 남성에다 지배자이며, 그리스이고 서양이다. 객체인 타자는 괴물이나 여성, 피지배자, 그리스가 아닌 비서양이다. 게다가 사악하고 음탕한 존재들로 묘사된다. 신이나 영웅은 항상 '한번 보면 반하고야 마는' 선과 미를 갖춘 얼짱에 몸짱이다.
그리스 신화는 태생부터 당혹스럽다. 우주와 신들의 탄생에 대해 가장 체계적이고 신뢰할 만하다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는 '카오스(혼돈)'에서 '에레보스(암흑)'와 '닉스(밤)'가 생기고, 그 둘 사이에서 '아이테르(하늘)'와 '헤메라(낮)'가 생겼다고 한다. 결국 에레보스와 닉스는 형제 사이인데, 그들에게서 하늘과 낮이 나왔다니, 패륜이라는 것인가. 또 닉스는 혼자서 운명과 죽음, 고뇌, 운명의 여신과 죽음의 여신 등의 자식을 낳는데, 이는 죽음이 여성에게서 비롯됐다는 것을 드러내는 극단적인 가부장적 태도라고 주장한다.
인간의 모습을 한 전지전능한 신 제우스만 봐도 그렇다. 절대 권력의 상징인 제우스는 정복하고자 마음 먹은 대상은 성별과 수단을 가리지 않는다. 부인은 첫번째 지혜의 여신 메티스부터 마지막인 여동생 헤라까지 무려 다섯명이다. 지조라고는 찾아볼 수 없다. 다른 여인인 레다를 유혹하기 위해 백조로 변신했고, 황금비로 변해 아르고스의 왕 아크리시오스의 딸 다나에에게 내려 페르세우스를 낳았다.
그러나 전쟁과 이성의 여신 아테나에게는 정절을 강요한다. 아테나가 고취하는 미덕은 정치적 영지, 용기, 조화, 규율, 자기억제이며 처녀의 전형이다. 인간 여성의 기원도 차별적이다. 자신에게 굴복하지 않은 프로메테우스 때문에 화가 난 제우스는 대장장이 신 헤파이스토스에게 판도라를 만들게 했다. '신통기'에는 판도라를 '파멸을 가져다주는 여자들의 종족'으로 표현한다.
괴물을 무찌르는 헤라클레스를 비롯한 영웅의 모습은 다분히 제국주의적 이미지이다. 폭압성과 무법성은 이루 말할 수 없지만, 정의를 실현하고 세상을 구한다는 명목으로 정당화된다.
결국 우리가 알고 있는 그리스 신화는 그 안에 신과 인간, 영웅과 괴물, 남성과 여성 등의 차별구조를 안고 있으면서도 그것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도록 유도하고 있다.
●"신화에 대한 열광은 정신적 제국주의"
저자는 "그리스 신화가 원초적 본능을 숨김 없이 드러내는 너무나도 인간적인 것이라고 예찬한다. 그러나 이 이야기는 음란, 강간의 폭력주의만이 아니라 전제주의, 제국주의, 침략주의, 귀족주의, 영웅주의, 군사주의, 물질주의, 권위주의, 성차별주의, 남성주의, 기계주의 따위를 상징한다."고 주장한다.
그리스 신화에 대한 열광은 비윤리적 행태와 서구 중심의 사유를 퍼뜨리는 '정신적 제국주의'라는 게 저자의 판단이다. 동양에 대한 편견과 폄훼가 묻어 있는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이 제기하는 서구 제국주의의 지배를 합리화시키는 수단이고,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는 근원적 힘일 뿐이다.
저자는 민족과 계급, 성별 등의 투쟁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그리스 귀신이 추방돼야 한다."고 꼬집는다.
책은 그리스 신화를 읽는 것조차 막아 서지는 않는다. 다만 읽으려면 비판적인 시각으로 읽기를 권한다. 더 멀리는 평화적 질서를 뒤흔드는 서구의 폭력성을 이해하고 서구중심적 사유를 넘어서는 길로 인도한다. 1만 2000원.
최여경기자 kid@seoul.co.kr